[테크포임팩트LAB] 일상의 장벽을 허무는 돕는 기술

13:20-14:00

13:20-14:00

B146

B146

AI 기술로 접근성을 확장하는 테크포임팩트 LAB 세 팀을 소개합니다. 이동약자를 위한 실내 접근성 분석 AI ‘동접 LAB’, 인공와우 사용자를 위한 재활 훈련 도구 ‘온소리 LAB’, 그리고 누구나 이해할 수 있는 쉬운말 번안 AI ‘B-Peach LAB’. 일상의 장벽을 기술로 낮추며 포용적 세상을 만들어가는 이들의 도전과 성장을 만나보세요. *테크포임팩트 LAB이란? 테크포임팩트 LAB은 카카오임팩트와 모두의연구소가 협력하여 세상을 돕는 사회혁신가와 기술로 변화를 만들고자 하는 IT 기술 전문가를 연결해 6개월간 사회 문제를 해결하는 기술을 개발합니다. 2023년 파일럿 프로젝트로 시작해 18개의 프로젝트가 진행되었고 사회문제 해결 현장 곳곳의 적용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카카오임팩트 재단 소개 카카오임팩트는 작은 기술이라도 선하게 쓰이면 세상이 달라진다는 철학아래 기술과 플랫폼으로 가치 있는 변화를 만드는 카카오의 기업재단입니다. 대표 사업으로 기술기반 사회혁신 생태계를 만드는 <테크포임팩트>, 시니어를 디지털 일상으로 더 가까워지도록 돕는 <찾아가는 시니어 디지털스쿨>, AI 시대를 지혜롭게 살아갈 수 있도록 디지털 시민성을 확산하는 <사이좋은 디지털 세상>이 있습니다. (공식 사이트 : https://www.kakaoimpact.org)

AI 기술로 접근성을 확장하는 테크포임팩트 LAB 세 팀을 소개합니다. 이동약자를 위한 실내 접근성 분석 AI ‘동접 LAB’, 인공와우 사용자를 위한 재활 훈련 도구 ‘온소리 LAB’, 그리고 누구나 이해할 수 있는 쉬운말 번안 AI ‘B-Peach LAB’. 일상의 장벽을 기술로 낮추며 포용적 세상을 만들어가는 이들의 도전과 성장을 만나보세요. *테크포임팩트 LAB이란? 테크포임팩트 LAB은 카카오임팩트와 모두의연구소가 협력하여 세상을 돕는 사회혁신가와 기술로 변화를 만들고자 하는 IT 기술 전문가를 연결해 6개월간 사회 문제를 해결하는 기술을 개발합니다. 2023년 파일럿 프로젝트로 시작해 18개의 프로젝트가 진행되었고 사회문제 해결 현장 곳곳의 적용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카카오임팩트 재단 소개 카카오임팩트는 작은 기술이라도 선하게 쓰이면 세상이 달라진다는 철학아래 기술과 플랫폼으로 가치 있는 변화를 만드는 카카오의 기업재단입니다. 대표 사업으로 기술기반 사회혁신 생태계를 만드는 <테크포임팩트>, 시니어를 디지털 일상으로 더 가까워지도록 돕는 <찾아가는 시니어 디지털스쿨>, AI 시대를 지혜롭게 살아갈 수 있도록 디지털 시민성을 확산하는 <사이좋은 디지털 세상>이 있습니다. (공식 사이트 : https://www.kakaoimpact.org)

동접 LAB

온소리 LAB

B-Peach LAB

조현욱 / 정효정 / 황윤경

연사

인하대 Vision AI 연구 / 단국대 바이오헬스융합학부 학부장 /AI 엔지니어

인하대 Vision AI 연구 / 단국대 바이오헬스융합학부 학부장 /AI 엔지니어

동접 LAB - 이동약자 위한 임팩트 있는 AI 모델 개발 & 서비스화 스토리 *조현욱 - 인하대학교 Vision AI 연구 이번 세션에서는 동접LAB의 랩장으로서 계단뿌셔클럽과 함께 진행한 이야기를 공유합니다. 동접LAB은 계단뿌셔클럽과 함께 이동약자를 위한 실내 접근성 AI 모델을 개발하고자 했지만, 가장 큰 장벽은 AI 학습에 필요한 데이터가 전혀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이었습니다. 그래서 저희는 데이터 부족 문제를 사회적 공감과 기술적 해결책으로 동시에 접근했습니다. 이동약자가 겪는 이동의 불편함을 많은 사람들이 인지하고 함께 참여할 수 있는 캠페인형 이미지 수집 서비스를 개발하는 한편, 법률 검토와 윤리 기준을 철저히 준수한 크롤링 방식으로 실내 이미지를 체계적으로 수집하고 라벨링했습니다. 현재는 이렇게 구축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AI 모델을 지속적으로 고도화하면서, 검수 프로세스 자동화와 사회적 공감 확산이라는 두 가지 목표를 함께 달성해 나가고 있습니다. 온소리 LAB - 모두의 소리를 찾아서 *정효정 - 단국대학교 혁신융합대학 바이오헬스융합학부 학부장 이번 세션에서는 온소리LAB의 랩장으로서 에이유디와 함께 진행한 이야기를 공유합니다. 인공와우 사용자들이 일상에서 듣는 다양한 소리는 생각보다 복잡한 정보를 담고 있습니다. 온소리LAB은 에이유디와 함께 인공와우 사용자들이 소리와 세상을 다시 연결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청각 재활 도구 3종을 개발했습니다. 누군가에게는 당연하지 않은 '소리'에 대해 더 깊이 고민하고, 모든 사람이 함께 소리를 즐길 수 있는 세상을 만들어가는 작업입니다. B-Peach LAB - Connect then Peach to Impact *황윤경 - AI 엔지니어 이번 세션에서는 B-Peach LAB의 랩장으로서 피치마켓과 함께 진행한 이야기를 공유합니다. "정보의 격차는 삶의 격차로 이어진다"는 피치마켓의 메시지에 공감하여 시작된 프로젝트입니다. 사람은 누구나 "오래보아야 사랑스럽다"는 시 한구절에 공감할 권리가 있고, "내 정기예금의 금리가 달라지는 이유"를 이해할 권리가 있습니다. "AI 쉬운말 번안 서비스"는 내가 선택하지 않은 문해력이, 나의 삶을 제한하지 않는 세상을 만듭니다.

동접 LAB - 이동약자 위한 임팩트 있는 AI 모델 개발 & 서비스화 스토리 *조현욱 - 인하대학교 Vision AI 연구 이번 세션에서는 동접LAB의 랩장으로서 계단뿌셔클럽과 함께 진행한 이야기를 공유합니다. 동접LAB은 계단뿌셔클럽과 함께 이동약자를 위한 실내 접근성 AI 모델을 개발하고자 했지만, 가장 큰 장벽은 AI 학습에 필요한 데이터가 전혀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이었습니다. 그래서 저희는 데이터 부족 문제를 사회적 공감과 기술적 해결책으로 동시에 접근했습니다. 이동약자가 겪는 이동의 불편함을 많은 사람들이 인지하고 함께 참여할 수 있는 캠페인형 이미지 수집 서비스를 개발하는 한편, 법률 검토와 윤리 기준을 철저히 준수한 크롤링 방식으로 실내 이미지를 체계적으로 수집하고 라벨링했습니다. 현재는 이렇게 구축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AI 모델을 지속적으로 고도화하면서, 검수 프로세스 자동화와 사회적 공감 확산이라는 두 가지 목표를 함께 달성해 나가고 있습니다. 온소리 LAB - 모두의 소리를 찾아서 *정효정 - 단국대학교 혁신융합대학 바이오헬스융합학부 학부장 이번 세션에서는 온소리LAB의 랩장으로서 에이유디와 함께 진행한 이야기를 공유합니다. 인공와우 사용자들이 일상에서 듣는 다양한 소리는 생각보다 복잡한 정보를 담고 있습니다. 온소리LAB은 에이유디와 함께 인공와우 사용자들이 소리와 세상을 다시 연결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청각 재활 도구 3종을 개발했습니다. 누군가에게는 당연하지 않은 '소리'에 대해 더 깊이 고민하고, 모든 사람이 함께 소리를 즐길 수 있는 세상을 만들어가는 작업입니다. B-Peach LAB - Connect then Peach to Impact *황윤경 - AI 엔지니어 이번 세션에서는 B-Peach LAB의 랩장으로서 피치마켓과 함께 진행한 이야기를 공유합니다. "정보의 격차는 삶의 격차로 이어진다"는 피치마켓의 메시지에 공감하여 시작된 프로젝트입니다. 사람은 누구나 "오래보아야 사랑스럽다"는 시 한구절에 공감할 권리가 있고, "내 정기예금의 금리가 달라지는 이유"를 이해할 권리가 있습니다. "AI 쉬운말 번안 서비스"는 내가 선택하지 않은 문해력이, 나의 삶을 제한하지 않는 세상을 만듭니다.

글로벌 AI 기술의 가장 앞선 이야기

모두콘2025 공유하기

글로벌 AI 기술의 가장 앞선 이야기

모두콘2025 공유하기

글로벌 AI 기술의 가장 앞선 이야기

모두콘2025
공유하기